You are on page 1of 32

Grammar in use 초급

있다 : ..에, ..게, .. 이, ..가, .. ‘ㄹ’ 수,


unit 1. Tenses 시제 ...에게, ..에서, ..으로, -어, -고, -도,
(서강1B)
-ㅂ니다 : 모음 뒤에서는 '-ㅂ니다'가, 자음 학교에 있다. 함께 있다. 조금 있다가.
뒤에서는 '-습니다‘ 새도 있다. 기회가 있다, 모임이 있다,
(이다/아니다, 입니다/아닙니다. 이에요/예요, 잘 할 수 있다. 진행 중에 있다. 친구가 있
아니에요. 1A, 2A) 다. 교수로 있다. 가능성이 있다. 않아 있다.
듣고 있다.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 (주로 동사 뒤에서 ‘-고 있다’ 구성으로 쓰
에 붙어) 합쇼할 자리에 쓰여, 현재 계속되 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계속 진행되고 있
는 동작이나 상태를 그대로 나타내는 종결 거나 그 행동의 결과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어미. 말.

매우 기쁩니다. 듣고 있다
지금 가십니다. 먹고 있다
그는 학생입니다. 자고 있다
힘들다 - 힘듭니다.
-(으)ㄹ 거예요: (1B, 2A -을 거예요. -을
-아요 : -았어요. -았었어요. (1A) 까요? 을/를 : 명사의 받침의 유무에 따른
(1A -아/어요) 사용으로 목적어 임을 나타낸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용언의 어간 뒤 -을, -ㄹ : 명사 수식, 미래 추측 )
에 붙어) 해요할 자리에 쓰여, 설명ㆍ의문ㆍ
명령ㆍ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어 의존 명사 ‘거’ + ‘-이에요’ = 거예요.
미 ‘-아’와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이다.
어미-(으)ㄹ
지금 문 닫아요. - '-(으)ㄹ'은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벌써 문을 닫아요? -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
어서 손을 잡아요.- 아님을 나타내는 어미인데, 이 '-(으)ㄹ'은
동사뿐 아니라 형용사 어간 뒤에도 붙어 쓰
-어요: -었어요. -었었어요. 인다.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닌 용언의 어간 형용사 뒤에 '-(으)ㄹ 것이다' 또는 '-ㄹ/을
뒤에 붙어) 해요할 자리에 쓰여, 설명ㆍ의문 것 같다' 구성이 와서, '저 아이는 크면 예쁠
ㆍ명령ㆍ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것이다./날씨가 좋을 것이다./저 아이는 키가
어미 ‘-어’와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이다. 작을 것 같다./날씨가 추울 것 같다.

지금 밥 먹어요. - ‘할 거예요’에는 말하는 이의 전망이나 추측,


벌써 밥 먹어요? - 또는 주관적 소신 따위를 나타내는 '-ㄹ/을
빨리 밥 먹어요.- 것이다' 구성.
우리 같이 먹어요-

- 1 -
Unit 2. 부정적 표현 Negative 술을 못 마시다
초등학교도 못 마치다
1.반대어 : 반의어(그 뜻이 서로 정반대되는 잠을 통 못 자다
관계에 있는 말).
-아 / 어 : 시간상의 선후 관계, 방법, 까닭,
2. 안 A/V-아/어요(A/V-지 않아요)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안: ‘아니’의 준말 요 :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
사.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씀.
안 벌고 안 쓰다 지: 의존 명사 '지'는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
안 춥다. 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말
비가 안 온다. 하다 : 모든 행동이 이루어지는 것.
이제 다시는 그 사람을 안 만나겠다.
안 먹고는 살 수가 없다. 못해요. 못하다.
그는 아무도 못 말린다. 금구에서 전주까지
-아 / 어 : 시간상의 선후 관계, 방법, 까닭, 는 사십 리가 좀 못 되었다.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사흘을 못 넘기다
밥을 물에 말아 먹다 어제는 아파서 학교에 못 갔다.
물이 얕아 건너기 쉽다
해가 솟아 있다. Unit 3. Particles 미립자

: 서술, 물음, 명령, 청유의 종결어미 1. N이/가


네가 맞아. 무얼 찾아?, 깨끗이 닦아. -N이 : 받침 있는 명사에 붙어 문장의 주
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요 :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 동생이, 사람이
사.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씀. -N가 : 받침 없는 명사 뒤에 사용한다.
아이가, 친구가
당신이 맞아요. 무얼 찾아요?, 2. N은/는
깨끗이 닦아요. -N은 : 받침 있는 명사, 부사어, 합성동사
의 선행요소에 붙어 그 성분이 문장에서 주
지: 의존 명사 '지'는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 제임을 나타내거나 대조 및 강조의 뜻을 나
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말(1B) 타내는 조사
이것은, 한국은
안 자요 - 자지 않아요. -N는 : 받침 없는 명사에 사용한다.
안 예뻐요 - 예쁘지 않아요. 우리는, 여기는
안 와요 - 오지 않아요. 3. N을/를
-N을 : 받침 있는 명사에 붙어 문장의 목
3. 못 : 부사 적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 음악을, 수업을
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 -N를 : 받침 없는 명사에 사용한다.
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영화를, 식사를
4. N와/과, N(이)랑, N하고

- 2 -
N와 : 받침 없는 명사에 붙어 여러 사물이 5시까지, 끝가지
나 사람을 열거하거나 행위를 함께 하는 대 -부터 : 명사나 부사어에 붙어 어떤 동작이
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나 상태 또는 순서나 서열의 시작임을 나타
사과와, 어머니와 내는 조사
N과: 받침 있는 명사 뒤에 사용 12월부터, 오늘부터, 원래부터, 어려서부
빵과, 형과 터
N(이)랑 : 받침 있는 명사에 붙어 여러 사 10 N에게/한테
물이나 사람을 열거하거나 행위를 함께 하는 -한테 : 말할 때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명사에 붙어 행위의 영향을 받는 대상임을
형이랑, 부모님이랑 나타내는 조사
N랑 : 받침 없는 명사에 사용 친구한테, 재훈 씨한테, 사람한테
친구랑, 사과랑 11. N도
N하고 : 명사에 붙어 여러 사물이나 사람을 여러 가지 대상이나 사태를 나열하거나 어떤
열거하거나 행위를 함께하는 대상임을 나타 대상이나 사태에 더함을 나타내는 조사
내는 조사. 사과도, 아침에도, 식사도, 돌다리도,
빵하고, 오늘하고, 수미하고 12. N만
5. N의 관형격 조사 다른 것을 배제하고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
'-의'는 '뒤 체언이 나타내는 대상이 앞 체 타내는 조사
언에 소유되거나 소속됨을 나타내는 격 조사 너만, 천 원만, 가야만, 생각만
'의 쓰임으로, '현실의 진리'에 쓰인 '-의'는 ' 13. N밖에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물이 일어 다른 가능성이나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나타
나거나 위치한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의 쓰 내는 조사
임으로, '최선의 문화'에 쓰인 '-의'는 '앞 체 하나밖에, 조금밖에, 가방밖에, 너 밖에
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물의 특성을 나 14.N(으)로
타내는 격 조사'의 쓰임. -으로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명사
사람의, 인류의, - 로 : 받침 없는 명사,‘ㄹ’ 받침으로 끝나는
6. N에 명사
명사에 붙어 장소나 지향점, 시간. 공간적 이동의 방향, 도구, 수단, 재료, 변화의 방
범위를 나타내는 조사 향, 자격, 신분,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조사
옆에, 운동장에, 아침에, 지진에, 결정에 부산으로, 트럭으로 , 어디로, 서울로, 위로
7. N에 15.N(이)나
‘가다, 오다’등의 동사와 함께 사용. -이나: 받침있는 명사에 붙어 나열이나 선택
학교에 가다, 국회에 보내다, 드라마에 나 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오다 -나 : 받침 없는 명사, 부사에 사용한다,
8. N에서 음식이나, 과일이나, 무엇이나, 친구나, 몹시
명사에 붙어 장소나 출발점, 시간, 공간적 나, 어떻게나
범위를 나타내는 조사 16. N(이)나
학교에서, 마음에서, 상황에서, 무엇, 어느 곳, 아무 것, 무슨 일 등의 뒤에
9. N에서 N까지, N부터 N까지 붙어 어떤 것이든 상관없음을 나타낸다.
-까지 : 명사에 붙어 범위의 끝 지점이나 한 수량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예상되는 정도
계를 나타내는 조사 를 나타낸다

- 3 -
17. N쯤 20 N마다
(일부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정도 (체언 뒤에 붙어) ‘낱낱이 모두’의 뜻을 나타
11’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내는 보조사.

내일쯤 날마다 책을 읽는다.


이쯤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다.
얼마쯤 영희는 웃을 때마다 보조개가 팬다.
18. N처럼, N같이
-처럼 : (체언 뒤에 붙어) 모양이 서로 비슷
하거나 같음을 나타내는 격 조사. Unit 4. Listing and Contrast
첨가, 대조
동태처럼 얼다
소처럼 미련하다 1. A/V -고
아이처럼 순진하다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뒤 절의 두 사실 간에 계기적인 관계가 있
-같이 : (체언 뒤에 붙어) 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1 . 오빠는 나에게 얼른 눈짓을 하고는 나가 버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렸다.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동생은 여행을 다녀오고부터 사람이 달라졌
다.
얼음장같이 차가운 방바닥 할머니께서는 상한 음식을 드시고 탈이 나셨
눈같이 흰 박꽃 다.
소같이 일만 하다. .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2 . 앞 절의 동작이 이루어진 그대로 지속되는
(때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앞말 가운데 뒤 절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이 나타내는 그때를 강조하는 격 조사. 연결 어미.

새벽같이 떠나다 어머니는 나를 업고 병원까지 달려가셨다.


매일같이 지각하다. 언니는 오늘 새 옷을 입고 출근했다.
매일같이 반복되는 단조로운 생활 선생님께서는 내 손을 쥐시고 말씀하셨다.

19. N보다 (일부 형용사 어간에 붙어) 형용사 어간을


(체언 뒤에 붙어)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 반복하여 그 뜻을 강조하는 연결 어미. 흔히
교하는 경우,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고 -은’ 구성으로 쓴다.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길고 긴 세월
내가 너보다 크다. 멀고 먼 고향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 넓고 넓은 하늘.
그는 나보다 두 살 위이다

- 4 -
2. V-거나 -은데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
둘 이상의 경우 중에 하나를 선택함을 나타 간에 사용. 작은데, 싫은데
내는 어미 (-건, -든지) -ㄴ데 :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이나 ‘ㄹ’받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 침으로 끝나는 형용사 어간, ‘이다’,‘아니다’
시-’, ‘-었-’, ‘-겠-’, ‘-으옵-’ 따위의 뒤에 에 사용한다. 예쁜데, 먼데, 학생인데, 아닌
붙어;흔히 ‘-거나 -거나’ 구성으로 쓰여) 데.

1 . Unit 5. Time Expressions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 1. N 전에, V-기 전에
미. ‘-거나 -거나’ 구성으로 쓰일 때는 흔히 -기 전에 : 어떤 행위나 상태가 앞에 오는
뒤에 ‘하다1’가 온다. 사실보다 시간상 앞섬을 나타내는 표현. 어
미 ‘-기’와 명사 ‘전’, 조사 ‘에’가 함께 쓰인
어른 앞에서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울 수 표현 (-기에 앞서서, -은 후에)
는 없다.
2 .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 전 : 명사
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1 . 막연한 과거의 어느 때를 가리키는 말.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
미. ‘간에’나 ‘상관없이’ 따위가 뒤따라서 뜻 그 사람을 전에 한 번 본 적이 있다.
을 분명히 할 때가 있다. 그가 전 같으면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을 것
이다.
그가 칭찬을 하거나 비난을 하거나 너는 신 전에 알던 사람
경 쓸 것 없다.
2 . (일부 명사나 ‘-기’ 다음에 쓰여) ‘이전
3. A/V-지만 3’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앞뒤 문장이 반대되는 내용임을 나타내는 어
미 ( -으나, -지마는) 사흘 전
조금 전
‘-지마는’의 준말. 그 전에 일을 해치워야 되겠다.

그는 어렵게 살지만 얼굴에 그늘이 없다. 에


생긴 건 우습지만 맛은 있다. 명사에 붙어 장소나 지향점, 시간. 공간적
어려운 일이지만 참아 보기로 하자 범위를 나타내는 조사
옆에, 운동장에, 아침에, 지진에, 결정에
4. A/V-(으)ㄴ/는데 에
동사나, ‘있다’, ‘없다’, ‘-았-’‘-겠-’에 붙어 ‘가다, 오다’등의 동사와 함께 사용.
말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되거나 대립되는 학교에 가다, 국회에 보내다, 드라마에 나
상황을 미리 재시할 때 쓰는 어미 오다

가는데, 있는데, 먹었는데, -기 : 동사, 형용사, ‘이다’, ‘아니다’어간, 어

- 5 -
미 ‘-았-’뒤에 붙어 그 말이 문장 내에서 주 서: 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어, 목적어 등의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 혼자서, 둘이서, 여럿이서
미.
* 장소, 출발점, 시간 공간적 범위를 나타
철수는 밥을 먹기가 싫었다. 내는 조사
학교에서 - 학교서
2. N 후에, V-(으)ㄴ 후에 (-은 뒤에)
**-고서 : 동사에 붙어 앞 문장의 행위를 한
-(으)ㄴ 후에 :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가 뒤 뒤에, 혹은 그것을 방법으로 하여 뒤 문장의
에 오는 행위 보다 시간상 앞섬을 나타내는 행위를 함을 나타내는 어미 (-고 나서, -은
표현, 어미 ‘-은’+명사‘후’+조사 ‘에’ 다음에)

후 : 명사 전화를 받고서 나갔다


1 . 뒤나 다음. - 전화를 받고 나서 나갔다

며칠 후에 다시 만납시다. 4. V-아/어서
내가 십 분 후에도 돌아오지 않으면 먼저 출 *‘하다’를 제외한 동사와 형용사 어간에 붙
발해도 좋다. 어 두 행위나 상태, 사실을 연결함을 나타내
그는 어머니가 입원하셨다는 소식을 한참 후 는 어미
에야 들었다. -아서 : 동사나 형용사 어간의 끝 음절 모음
이 ‘ㅏ, ㅗ’인 경우에 사용한다.
-은 후에: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가서, 만나서, 좋아서
어간 뒤에 사용. -어서 : 동사나 형용사 어간의 끝 음절 모음
먹은 후에, 찾은 후에 이 ‘ㅏ, ㅗ’이 아닌 경우, ‘이다’, ‘아니다’에
사용한다.
-ㄴ 후에 :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받 먹어서, 개어서, 학생이어서
침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에 사용한다.
헤어진 후에, 만든 후에, *동사에 붙어 행위를 시간 순서에 따라 연결
함을 나타낸다.
3. V-고 나서 (-고 + 나다 + 서) 저 신호등을 지나서 내려 주세요.
-고 : 동사에 붙어 행위를 시간 순서에 따라 계란은 삶아서 먹어도 맛있어요.
연결함을 나타낸다. (종속적 연결 어미)
숙제를 하고 놀아라 *앞선 행위나 상태가 원인, 이유임을 표현
- 숙제를 하고 나서 놀아라 옷이 작아서 입기가 거북하다.

나서 : '-고'는 연결 어미이고 '나서'는 동사 *앞선 행위가 목적임을 나타냄


'나다'에 '서'가 붙은 활용형 동생을 찾아서 전국을 다녔다.
나다: 여드름이 나다, 길이 나다, 구멍이 나
다. 신문에 나다. 불이 나다. 발표가 나다, *뒤의 행위가 일어난 시간을 나타낸다.
겁이 나다, 화가 나다 그는 어려서 매우 똑똑했다.

- 6 -
5. N 때, A/V-(으)ㄹ 때 읽으면, 많았으면,
어던 행위나 상황이 계속되는 동안이나 시간
을 나타내는 표현, 어미 ‘-을’과 명사 ‘때’가 -으면서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나
함께 쓰인 표현 형용사 어간, 읽으면서, 좋으면서

때 : 명사 -면서 : 받침 없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1 . 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 ‘ㄹ’받침으로 끝나는 동사, 형용사 어간, ‘이
다’, ‘아니다’ 에 사용한다. 가면서, 만들면
때를 알리다 서, 학생이면서
아무 때나 오너라.
내가 웃고 있을 때에 그녀가 나를 보았다 7. N 중, V-는 중

-을 때 : -중: (일부 명사 뒤에 쓰여;‘-는/-던’ 뒤에


어떤 행위나 상황이 계속되는 동안이나 시간 쓰여)
을 나타내는 표현. 어미 -을‘+명사’때‘
무엇을 하는 동안.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나 형용사 어
간, ‘-았-’ 뒤에 사용 근무 중
먹을 때, 좋을 때, 갔을 때 수업 중
회의 중
-ㄹ 때 :받침 없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동사, 형용사 어간, ‘이 어떤 상태에 있는 동안.
다’, ‘아니다’ 에 사용한다.
갈 때, 바쁠 때, 만들 때, 학생일 때 임신 중
수감 중
6. V-(으)면서 대학 재학 중에 입대하다
둘 이상의 사실을 겸하고 있음을 나타내거나
둘 이상의 사실이 서로 상반되는 관계에 있 (주로 ‘중으로’ 꼴로 쓰여) 어떤 시간의 한계
음을 나타내는 어미 를 넘지 않는 동안.

-면 : 받침 없는 명사에 붙어 어떤 것을 지 그는 오늘 내일 중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정하여 예로 들 때 쓰는 조사
이번 달 중으로 약속한 잔금을 치르지 않으
받침 없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ㄹ’받침으 면 계약은 무효입니다.
로 끝나는 동사, 형용사 어간, ‘이다’, ‘아니
다’ 에 사용 한다. 가면, 만들면, 학생이면 V-는 중(이다)
동사에 붙어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는 표현.
-이면 : 받침 있는 명사에 사용한다. 어미‘-는’과 의존명사 ‘중’ + 이다
-으면: 조건이나 가정의 뜻을 나타내는 어미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았-’, ‘-겠-’뒤에 사용

- 7 -
8. V-자마자 결 어미.
어미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기분이 좋은지 휘파람을 분다.
앞 절의 동작이 이루어지자 잇따라 곧 다음 나 외엔 더 깨우고 싶지 않은지 강도의 목소
절의 사건이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 리는 무척 낮고 조심스러웠다
결 어미.
-는지 :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
속이 안 좋아서 음식을 먹자마자 토해 버렸 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다. 뒤에 붙어)
집에 닿자마자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는 나를 보자마자 대뜸 화부터 냈다 1 .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
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
9. N 동안, V-는 동안 (-는 사이) 결 어미.

동안 : 명사 아이들이 얼마나 떠드는지 책을 읽을 수가


어느 한때에서 다른 한때까지 시간의 길이. 없었다.
바람이 얼마나 세게 부는지 가로수 가지들이
3시간 동안 , 사흘 동안 , 방학 동안 꺾였다.
무엇이 틀렸는지 답을 맞춰 보자.
-는 동안 : 동사, 있다, 없다 에 붙어 어떤
행위나 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의 뜻을 나타내 ㄴ 지 :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받침으
는 표현. 어미-는 + 명사 동안 로 끝나는 형용사 어간, 이다, 아니다 에 사
용.
내가 있는 동안 잘 해야지, 바쁜지, 먼지, 학생인지, 아닌지
아이가 자는 동안에 청소를 했다.
Unit 6. Ability and Possibility
10. V-(으)ㄴ 지 있다, 없다의 능력, 가능성

지 : 의존명사 1. -(으)ㄹ 수 있다/ 없다


(어미 ‘-은’ 뒤에 쓰여) 어떤 일이 있었던 때 방법이나 가능성이 있고 없음을 나타내는
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말. 표현

그를 만난 지도 꽤 오래되었다. -ㄹ :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


집을 떠나온 지 어언 3년이 지났다. 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
강아지가 집을 나간 지 사흘 만에 돌아왔다 시-’, ‘-시오-’ 따위의 뒤에 붙어)
관형어,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은지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 ‘ㄹ’ : 받침 없는 명사 +‘ㄹ’ : 문장의 목적
간 뒤에 붙어) 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를’의 준말
'-(으)ㄹ'은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1 .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
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
아님을 나타내는 어미인데, 이 '-(으)ㄹ'은

- 8 -
동사뿐 아니라 형용사 어간 뒤에도 붙어 쓰 을 할 능력이나 소양이 있다.
인다.
형은 기타를 칠 줄 안다.
수: 명사 저도 글을 읽고 쓸 줄은 알아요.
일을 처리하는 방법이나 수완. 그는 차는 없었지만 운전을 할 줄 알았다.

좋은 수가 생각나다
Unit 7. Demands and Obligations,
뾰족한 수가 없다
Permission and Prohibition
일찌감치 수를 쓰다
요구, 임무, 허락, 금지

의존명사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주로 ‘있 1. V -(으)세요
다’, ‘없다’ 따위와 함께 쓰여) 어떤 일을 할 문장의 주어를 높이면서 어떤 사실을 서술하
만한 능력이나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 거나 물음, 명령, 요청을 나타내며, 문장을
끝맺는 어미(으시 + 아요 = 으시어요 준말)
모험을 하다 보면 죽는 수도 있다.
살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 -으세요 : 어미
지금은 때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같은 말] -으셔요.
있다/없다 :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 머
물다, 앉(어간) + -으세요 (해요체 종결 어미)
사람, 동물, 물체 따위가 존재하는 상태. 이리 앉으세요.
소유의 자격, 역할의 존재 상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제발 참으세요.예문닫기
2.-(으)ㄹ 줄 알다/모르다
그렇게 좋으세요?

줄 : 의존명사, 방법, 셈속
-으 : 매개 모음
밥 지을 줄 모른다.
어간의 자음과 어미의 자음 사이에서 음을
고르게 하기 위해 매개 모음이 나타나지만,
-을 줄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나
그러한 모든 경우에 매개 모음이 쓰이는 것
형용사 어간 뒤에 사용.
은 아님. '-는, -던'이나 '-자면, -든지, -
먹을 줄, 많을 줄
듯이'와 같은 어미 앞에서는 '-으-'가 쓰이지
않으며, 어미 '-되'의 경우는 '먹되/있으되/잡
-ㄹ 줄 : 받침 없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았으되/먹겠으되'와 같이 '있다, 없다'의 어간
‘ㄹ’받침으로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이
뒤와 '-았-, -겠-'의 뒤에서만 '-으-'가 나
다, 아니다 에 사용.
타남.
갈 줄, 예쁠 줄, 만들 줄, 선생일 줄, 아닐

-세요: 받침 없는 용언, ‘ㄹ’받침으로 끝나는
알다/ 모르다
용언, 이다, 아니다,
(주로 ‘-을 줄 알다’ 구성으로 쓰여) 어떤 일
가세요. 어머님이세요,
- 9 -
2. V-지 마세요 말이 뜻하는 행동이 끝내 실현됨을 나타내는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의 금지를 나타내는 말. 일을 이루어 낸 데 대하여 긍정적인 생
표현 -지 + 말다 각 또는 부정적이고 아쉬운 느낌이 있음을
나타낸다.
-지 : 상반되는 상황을 대조적으로 이어 줌
을 나타내는 어미 새로운 기계 발명에 성공하고야 말겠다.
바다에 가지 산에 가지 않는다.
피자를 먹지 않는다. 3.A/V-아/어야 되다/하다
멀리 가지 마세요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한 당위나 의무, 필요
성을 나타내는 표현. 어미 ‘-아야’+동사‘되
마세요: 않다, 못하다, 말다 다’
동사
1 . 「…을」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거 -아야 되다 : 동사, 형용사 어간 끝 음절 모
나 그만두다. 임이 ‘ㅏ’ ‘ㅗ’인 경우
살아야 되다, 놀아야 되다
저만 믿고 걱정 마세요. -어야 되다 : 동사, 형용사 어간 끝 음절 모
임이 ‘ㅏ’ ‘ㅗ’이 아닌, 이다, 아니다, ‘-았-’
2 . (‘-거나 말거나’, ‘-거니 말거니’, ‘-나 에 사용. 예뻐야 되다, 선생이어야 되다
마나’, ‘-든지 말든지’, ‘-ㄹ(을)까 말까’ 따
위와 같은 구성으로 쓰여) ‘아니하다’의 뜻을 4. A/V -아/어도 되다
나타낸다.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내는 표현 -아도 + 되

쳐다보거나 말거나 수군거리거나 말거나, 그
녀의 태도는 당당하고 의젓했다. -아도 : 어미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ㅑ, ㅗ’인 어간 뒤에
3 . (‘말고’ 꼴로 명사의 단독형과 함께 쓰 붙어)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여) ‘아니고’의 뜻을 나타낸다.

아무리 이를 닦아도 입 냄새가 난다.


너 말고 네 친구 네가 옳아도 참아야 한다.
이것 말고 저것을 주시오. 키는 작아도 힘은 세다

보조동사 -어도 : 어미
1 . (동사 뒤에서 ‘-지 말다’ 구성으로 쓰여)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용언의 어
간 뒤에 붙어)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함을 나
는 연결 어미.
타내는 말.
이 은혜는 죽어도 잊지 않겠네.
이곳에서 수영하지 마시오. 무슨 일이 있어도 내일까지는 일을 끝마쳐야
한다.
2 . (동사 ‘-고(야) 말다’ 구성으로 쓰여) 앞 재물은 적어도 마음은 넉넉하다

- 10 -
되다: 동사. 책만 읽으면 존다.
신분을 가지다, 다른 것으로 변하다, 어떤
시기에 이르다. 일정한 수에 이르다. 수량, 안 : ‘아니1(1.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내
요금이 얼마다, 품격과 덕을 갖추다, 어떤 는 말)’의 준말.
심리적 상태에 놓이다. 관계를 갖다. 어떤,
형태, 성분으로 이루어지다, 문서의 이름으 안 벌고 안 쓰다
로 쓰이다. 사물이나 현상이 만들어지다, 일 안 춥다.
이 잘 이루어지다. 작물이 잘 자라다, 수명 비가 안 온다
을 다하다, 상황에 이르다, 운명, 규칙이 정
해지다, 어떤 일이 이루어져야 하다.
괜찮거나 바람직하다, 허락. 6.A/V-지 않아도 되다
(안 A/V-아/어도 되다)
5. A/V-(으)면 안 되다
부정의 ‘안’ + A/V -아/어도 되다
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 어미 ‘-으면’ +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내는 표현 -아도 + 되
부정 부사 ‘안’ +동사 ‘되다’

-으면: 어미
-지 + 안 + 아도 + 되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 붙어)
-지 :
1 . (용언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불확실하거나 아직 이루어지지 아니한 사실 -’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
을 가정하여 말할 때 쓰는 연결 어미. 을 긍정적으로 서술하거나 묻거나 명령하거
나 제안하는 따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
내일 날씨가 좋으면 소풍을 가겠다.
미. 서술, 의문, 명령, 제안 따위로 두루 쓰
정원에 사과나무를 심으면 잘 자랄까?
인다.
2 .
일반적으로 분명한 사실을 어떤 일에 대한
조건으로 말할 때 쓰는 연결 어미. 나도 가지.

상한 음식을 먹으면 배탈이 난다. 안 : ‘아니1(1.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내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는 말)’의 준말.
3 .
(주로 ‘-었-’ 뒤에 붙어) 현실과 다른 사실 안 벌고 안 쓰다
을 가정하여 나타내는 연결 어미. 현실이 그
렇게 되기를 희망하거나 그렇지 않음을 애석 -아/어도 되다
해하는 뜻을 나타낸다. 허락이나 허용을 나타내는 표현 -아도 + 되

이제 집에 갔으면 좋겠다.
돈이 많으면 너를 도와줄 텐데.
기차가 제시간에 왔으면 우리가 지각하지 않
았을 텐데.

- 11 -
Unit 8. Expressions of Hope
-아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어간에 붙
1. V-고 싶다 어)시간적 선후 관계, 이유, 근거, 수단, 방
-고 + 싶다 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고 : 두 가지 이상의 행위나 상태, 사실을 고기를 잡아서 구워 먹다
연결하는 어미 (나열, 연결, 행위의 유지로 눈이 와서 길이 미끄럽다

뒤의 행위를 나타냄) 옷에 방울을 달아서 장식했다.


-어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용언
싶다 : 보조형용사, V+'-고 싶다‘
의 어간 뒤나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행동의 마음, 욕구, 마음이 있음을 나타냄.
붙어)

2. A/V -았/었으면 좋겠다

-서 :
았/었 + 으면 + 좋다 + 겠
1.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수를 나
타내는 받침 없는 말에 붙는다.
으면:
둘이서, 혼자서,
(주로 ‘-었-’ 뒤에 붙어) 현실과 다른 사실
2. 장소, 출발점, 시간, 공간적 범위를 나
을 가정하여 나타내는 연결 어미. 현실이 그
타내는 조사. 에서. 에.
렇게 되기를 희망하거나 그렇지 않음을 애석
해하는 뜻을 나타낸다. 학교에서 -학교서, 세상에서 - 세상서

-겠 :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어미.


2.A/V-(으)니까
나는 시인이 되겠다. 이유나 근거, 전제를 나타내는 어미
이 정도의 고통은 내 힘으로 이겨 내겠다.
동생은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 붙어) ‘-으니1’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Unit 9. Reasons and Causes


그렇게 음식을 마구 먹으니까 배탈이 나지.
이유와 원인
약속을 했으니까 만나야 한다.

1. A/V-아/어서 -니까 : 받침 없는 용언, ‘ㄹ’받침으로 끝나


‘하다’를 제외한 동사와 형용사 어간에 붙어 는 용언, 이다, 아니다.
두 행위나 상태, 사실을 연결함을 나타내는 가니까, 학생이니까,
어미
3. N 때문에. A/V -기 때문에
-아서 : 동사, 형용사 긑 음절 모음 ‘ㅏ, ㅗ’ '때문'은, 그 용례를 살펴보면, 부정적 맥락
인 경우 - 가서, 만나서, 좋아서 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특정
-어서: ‘ㅏ, ㅗ’가 아닌 경우, 이다, 아니다. 맥락에 한정되지는 않고, '어떤 일의 원인이
먹어서, 학생이어서, 아니어서 나 까닭.'을 나타내는 경우에 쓰이고 있음

- 12 -
(덕분에, 탓에) 물건이 너무 좋아 샀다.
'때문'은 명사나 대명사, 어미 '-기', '-은', '- 3 .
는', '-던' 뒤에 쓰임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연결하는 데 쓰는 연
결 어미.
'덕분'은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을 의미하는
말이므로, 자연히 긍정적으로 의사를 표시하 고양이가 쥐를 잡아 버렸다.
는 문장 물이 얕아 보인다.
해가 솟아 있다.
'탓'은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까닭이
나 원인', '구실이나 핑계로 삼아 원망하거나 4.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
나무라는 일'을 의미하는 말이므로, 부정적 나 물음ㆍ명령ㆍ청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맥락에서 쓰임 네가 맞아.
무얼 찾아?
Unit 10. Making Requests and Assistion 깨끗이 닦아
부탁하다, 요청하다, 요구하다, 돕다
주세요 : 주다 + 시 +어요.
1.V-아/어 주세요. V-아/어 주시겠어요? -시어요 : 어미
-아/어 + 주다 + 시 +어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또는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해요할
-아/어 주다 : 동사에 붙어 다른 사람을 위 자리에 쓰여, 설명ㆍ의문ㆍ명령의 뜻을 나타
해 어던 행위를 함을 나타내는 표현, 내는 종결 어미. 어미 ‘-시-23’와 ‘-어요’가
결합한 말이다.
-아주다: 동사, 형용사 긑 음절 모음 ‘ㅏ,
ㅗ’인 경우 - 돌봐주다, 잡아 주다. 제 선생님이시어요.
어서 오시어요.
-어 주다 :‘ㅏ, ㅗ’가 아닌 경우, 이다, 아니 벌써 가시어요?
다. 읽어 주다, 써 주다.
표준 언어 예절 : ‘-시- ’주체인 사람을 높
이고자 사용하는 표현
1 . 시간상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거나 방법
따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으시 - : 어미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 뒤에
밥을 물에 말아 먹다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어) 어떤 동작이나
환자를 안아 일으키다 상태의 주체가 화자에게 사회적인 상위자로
2 . 인식될 때 그와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기술
까닭이나 근거 따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에 결합하여 그것이 상위자와 관련됨을 나타
내는 어미.
눈이 와 길이 미끄럽다.
물이 얕아 건너기 쉽다. 아버지는 손을 꼭 잡으시었다.
- 13 -
선생님의 덕은 하늘처럼 높으시다.
삼촌은 형님이 있으시다.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내가 말해도 되겠니?
이제 그만 돌아가 주시겠어요?예문보기
주시겠어요?
너는 공부를 좀 더 열심히 해야 하겠다. 네
주다 + 시 +겠 +어+ 요.
가 와 주면 고맙겠구나.
5 .
-시-:
헤아리거나 따져 보면 그렇게 된다는 뜻을
(‘이다’의 어간이나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나타내는 어미.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다른 어
미 앞에 붙어)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별사람을 다 보겠다
화자에게 사회적인 상위자로 인식될 때 그와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기술에 결합하여 그것
-어요/ 아요
이 상위자와 관련됨을 나타내는 어미.
‘하다’를 제외한 동사 와 형용사 어간, ‘이
아버님께서 오시었다. 다’, ‘아니다’, ‘-았-’, ‘-겠-’에 붙어 어떤 사
선생님은 키가 크시다. 실을 서술하거나 물음. 명령. 요청을 나타내
충무공은 훌륭한 장군이셨다. 며 문장을 끝맺는 어미, 어미‘-아’와 높임의
‘요’가 함께 쓰인 말
-겠- :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
-어요 : 동사, 형용사 어간 끝 음절 모음
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
어)(추측. 위지. 능력. 태도. 등) ‘ㅏ’‘ㅗ’가 아닌 경우, 이다, 아니다, 았, 겠뒤
에 사용
1 . 먹어요. 개어요. 학생이어요.
미래의 일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어미. -아요: 동사, 형용사 어간 끝 음절 모음
‘ㅏ’‘ㅗ’인 경우.
지금 떠나면 새벽에 도착하겠구나.
가요, 만나요, 좋아요.
잠시 후면 대통령 내외분이 식장으로 입장하
시겠습니다.
고향에서는 벌써 추수를 끝냈겠다. 2. V-아/어 줄게요. V-아/어 줄까요?
2 .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어미. -아/어 + 주다 + 게 + 요

나는 시인이 되겠다. -게 : 명령의 의미 + 요


이 정도의 고통은 내 힘으로 이겨 내겠다.
-ㄹ 까: (주로 ‘-ㄹ까 하다’, ‘-ㄹ까 싶다’,
동생은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ㄹ까 보다’ 구성으로 쓰여) 해할 자리에
3 .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어미. 쓰여, 현재 정해지지 않은 일에 대하여 자기
나 상대편의 의사를 묻는 종결 어미.
그런 것은 삼척동자도 알겠다.
이걸 어떻게 혼자 다 하겠니? 남은 것은 내가 다 먹을까 보다.
4 . 저는 그림을 그릴까 합니다.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어미.

- 14 -
게 : 대명사‘내, 네, 제’에 붙어 행위의 영향 Unit 11. Trying New Things and
을 받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조사. ‘에게’의 Experiences 새로운 것을 시도하거나 경험
준말 하다.
제게 책을 주었어요.
새가 제게 날아왔어요. 1. V-아/어 보다
네게 문제가 생겼다
네게 잡히겠니? -아 보다 :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한번
내게 한국말을 배운 사람이 많아요. 시도하거나 경험함을 나타내는 표현. ‘-아’
내게 실망한 것이 분명해 + ‘보다’

-게 : 동사와 형용사에 붙어 뒤에 나오는 사 동사 어간 끝 음절 모음 ‘ㅏ’‘ㅗ’인 경우


태의 목적이나 결과, 정도, 방식을 나타냄 만나 보다, 와 보다
춥지 않게 옷을 더 입으세요.
나는 머리를 짧게 잘랐다. -어 보다: 동사 어간 끝 음절 모음 ‘ㅏ’‘ㅗ’
그 사람을 좋게 생각한다. 가 아닌 경우.
슬프게도 그들은 다시 만날 수 없었습니다. 먹어 보다, 들어 보다,
그 사람을 좋게만 보지마.
2. V-(으)ㄴ 적이 있다/없다
-게: 동사에 붙어 명령의의미를 나타내는 어
미 '매개 모음' : -으- 어간의 자음과 어미의
어서 들어오게. 자음 사이에서 음을 고르게 하기 위해 매개
여보게, 술 한잔 들게. 모음이 나타난다. 어미 '-되'의 경우는 '먹되
자네 이것 좀 보게 /있으되/잡았으되/먹겠으되'와 같이 '있다, 없
다'의 어간 뒤와 '-았-, -겠-'의 뒤에서만 '-
-게: 혼잣말로 어떤 사실을 환기함을 나타내 으-'가 나타남.
는 어미
아이고, 내 정신 좀 보게. ㄴ : 조사 (‘는’의 활용)
어머, 저 꼴 좀 보게. 1 .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
-게: 말할 때 쓰여 상대방의 의도를 묻거나 아, -게, -지, -고’, 합성 동사의 선행 요소
당연한 일을 반어적으로 물음을 나타냄 따위의 뒤에 붙어)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언제 집에 가게? 대조됨을 나타내는 보조사. ‘는1’보다 더 구
그 퍼즐을 풀었으면 천재게? 어적이다.
내 고향이 어디게?
사관 먹어도 밴 먹지 마라.
-게 : 물은 근거를 제시함을 나타냄 산엔 눈이 내리고 들엔 비가 내린다.
무슨 일 있어요? 표정이 어두우시게. 비가 많인 오지 않았다.
2 .
(받침 없는 체언 뒤에 붙어) 문장 속에서 어
- 15 -
떤 대상이 화제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는1’ 기회가 있다.
보다 더 구어적이다. 모임이 있다.
보조동사
난 학생이다. 동사 + ‘-어 있다’, ‘-고 있다’로 구성
저 앤 또 왜 저래? 깨어 있다.
3 . 듣고 있다.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일부 연결 어
미 뒤에 붙어)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
사. ‘는1’보다 더 구어적이다. Unit 12. Asking Opinions and Making
Suggestions. 의견을 의뢰하고 생각을 제안
그 애는 나에게 편지를 던져 주곤 도망치듯 하다.
달려가 버렸다.
갑자기 비가 오니깐 사람들이 건물 안으로 1. V-(으)ㄹ까요?
들어갔지.
뒤를 돌아보아선 안 돼. 질문이나 추측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 어미
‘-을까 + 높임의’요‘
적: 의존명사
(일부 명사나 어미 ‘-은’, ‘-을’ 뒤에 쓰여) 받침 없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ㄹ’받침으로
그 동작이 진행되거나 그 상태가 나타나 있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이다’, ‘아니다’
에 사용한다.
는 때, 또는 지나간 어떤 때.

갈까요. 바쁠까요, 만들까요, 학생일까요, 아


아이 적에 있었던 일
닐까요.
이 옷은 우리 어머니가 처녀 적에 입으시던
옷이다. 어미-(으)ㄹ + 까 + 요?
나는 집을 나온 다음 편한 잠을 자 본 적이
없다
'-(으)ㄹ'은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추측, 예정, 의지, 가능성 등 확정된 현실이
있다(존재하는 상태)/ 없다.(존재하지 않는 아님을 나타내는 어미인데, 이 '-(으)ㄹ'은
상태) 동사뿐 아니라 형용사 어간 뒤에도 붙어 쓰
V + 있다 = ‘-에’, ‘-게(-이/히, 부사어)’, 인다.
+ 있다 형용사 뒤에 '-(으)ㄹ 것이다' 또는 '-ㄹ/을
학교에 있어라. 것 같다' 구성이 와서, '저 아이는 크면 예쁠
얌전하게 있어라 것이다./날씨가 좋을 것이다./저 아이는 키가
가만히 있어라 작을 것 같다./날씨가 추울 것 같다.

A + 있다 =-에게, 사람, 동물, 물체의 실제 -을까요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형

존재 상태. 용사 어간, ‘-았-’ 뒤에 사용한다.


먹을까요, 작을까요, 갔을까요
신이 있다고 믿는다.
- 16 -
2. V-(으)ㄹ까요? 간 뒤에 사용.
먹읍시다, 찾읍시다.
동사에 붙어 상대방의 의향, 의견을 묻거나
제안함을 나타낸다. 4. V-(으)시겠어요?
-으시- : 동사와 형용사 어간, ‘이다’, ‘아니
차나 한잔 할까요? 다’뒤에 다른 어미 앞에 붙어 문장의 주어를
영화 볼까요? 존대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어미
녹차를 줄까요, 주스를 줄까요? -으시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형
용사 뒤. 잡으시다, 좋으시다.
-ㄹ까 + 요?
어미 -시- : 받침 없는 동사, 형용사어간, ‘ㄹ’받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침으로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이다,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 아니다,
에 붙어) 가시다, 바쁘시다, 선생님이시다, 아니시다.

해할 자리에 쓰여, 현재 정해지지 않은 일에 -겠-: 어미


대한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
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
이 나무에 꽃이 피면 얼마나 예쁠까? 어)
이 그물에 고기가 잡힐까?
어미 : 1 .
(주로 ‘-ㄹ까 하다’, ‘-ㄹ까 싶다’, ‘-ㄹ까 보 미래의 일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어미.
다’ 구성으로 쓰여) 해할 자리에 쓰여, 현재
정해지지 않은 일에 대하여 자기나 상대편의 지금 떠나면 새벽에 도착하겠구나.
의사를 묻는 종결 어미. 잠시 후면 대통령 내외분이 식장으로 입장하
시겠습니다.
남은 것은 내가 다 먹을까 보다. 고향에서는 벌써 추수를 끝냈겠다.
저는 그림을 그릴까 합니다. 2 .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어미.
3. V-(으)ㅂ시다
동사에 붙어 아랫사람이나 동등한 관계의 상 나는 시인이 되겠다.
대방을 대접하여 어떤 행동이나 동작을 제안 이 정도의 고통은 내 힘으로 이겨 내겠다.
하거나 요구함을 나타내는 어미 동생은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3 .
-ㅂ시다 :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받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어미.
침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에 사용
공부합시다, 갑시다, 만듭시다. 그런 것은 삼척동자도 알겠다.
이걸 어떻게 혼자 다 하겠니?
읍시다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의 어 4 .
- 17 -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어미. 시겠습니다.
고향에서는 벌써 추수를 끝냈겠다.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2 .
내가 말해도 되겠니?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어미.
이제 그만 돌아가 주시겠어요?
나는 시인이 되겠다.
5.V-(으)ㄹ래요? -(으)ㄹ래 + 요 이 정도의 고통은 내 힘으로 이겨 내겠다.
동생은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동사에 붙어 어떤 일을 할 의향이나 의지를 3 .
나타내는 어미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어미.

-(으)ㄹ래 그런 것은 삼척동자도 알겠다.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 받침인 동사 이걸 어떻게 혼자 다 하겠니?
어간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장차 어 4 .
떤 일을 하려고 하는 스스로의 의사를 나타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어미.
내거나 상대편의 의사를 묻는 데 쓰이는 종
결 어미.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내가 말해도 되겠니?
집에 갈래. 이제 그만 돌아가 주시겠어요?
언제 할래?
어요: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닌 용언
-을래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의 어간 뒤에 붙어) 해요할 자리에 쓰여, 설
뒤에 사용 명ㆍ의문ㆍ명령ㆍ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먹을래, 읽을래 어미. 어미 ‘-어’와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
이다.
Unit 13. Intentions and Plasns
목적과 계획 지금 밥 먹어요. -
벌써 밥 먹어요?
1.A/V-겠어요
-겠-: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 2. V-(으)ㄹ게요
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 동사에 붙어 의지나 약속의 뜻을 나타내는
어) 표현,
ㄹ게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 어간
1 . 떠날게요, 만들게요.
미래의 일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어미.
-을게요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
지금 떠나면 새벽에 도착하겠구나. 간
잠시 후면 대통령 내외분이 식장으로 입장하 먹을게요, 읽을게요

- 18 -
3.V-(으)ㄹ래요
-(으)ㄹ래 잘 달리는데.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 받침인 동사 성적이 많이 올랐는데?
어간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장차 어
떤 일을 하려고 하는 스스로의 의사를 나타 2. V-(으)니까
내거나 상대편의 의사를 묻는 데 쓰이는 종 이유나 근거, 전제를 나타내는 어미
결 어미. -으니까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이나 형
용사 어간, 았, 겠 뒤에 사용.
Unit 14. Background Information and
Explanations. 배경 정보와 경험 먹으니까, 많으니까, 봤으니까, 알겠으니까

1. A/V-(으)ㄴ/는데 -니까 : 받침 없는 동사, 형용사 어간, ‘ㄹ’


-ㄴ데 :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이나 ‘ㄹ’받 받침으로 끝나는 동사, 형용사, 이다, 아니다
침으로 끝나는 형용사 어간, 이다, 아니다,
예쁜데, 먼데, 학생인데, 가니까, 머니까, 의사니까

-은데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 Unit 15. Purpose and Intention


간. 목적과 의도 표현
작은데, 싫은데.
1. V-(으)러 가다/오다
는데 : 어미 동사에 붙어 이동의 목적을 나타내는 어미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으러 : ‘ㄹ’제외한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 먹으러, 잡으러.
어)
-러: 받침 없는 동사, ‘ㄹ’받침 동사.
1 . 공부하러, 만들러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
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2.V-(으)려고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의 의도를 나타내거나
곧 일어날 움직임임을 나타내는 어미
내가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
다. -으려고: ‘ㄹ’제외한 받침 동사,
그 애는 노래는 잘 부르는데 춤은 잘 못 춰. 먹으려고, 잡으려고
눈이 오는데 차를 몰고 나가도 될까?
2 . -려고 : 받침 없는 동사, ‘ㄹ’받침 동사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가려고, 만들려고,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19 -
3.V-(으)려고 하다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의 의도를 나타내거나 철수는 밥을 먹기가 싫었다.
곧 일어날 움직임임을 나타내는 표현
‘-으려고’+동사‘하다’ 위해서, 위해, 위하여 : 같은 의미

4. N을/를 위해(서), V-기 위해(서) 서 : 문장의 주어임은 나타내는 조사


혼자서, 둘이서
받침 있는 명사에 붙어 어떤 대상을 이롭게
하거나 어떤 목표를 이루려고 함을 나타내는
-여서: ‘하다’에 붙어 주로 줄어든 형태‘해
표현.
서’로 쓰여 두 행위나 상태 사실을 연결함을
나타내는 어미. (아서/어서)
N을/를
-N을 : 받침 있는 명사에 붙어 문장의 목
-여서 : ‘하다’에 사용
적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하여서/해서
음악을, 수업을
-N를 : 받침 없는 명사에 사용한다.
-아서 : 용언의 끝 음절. ‘ㅏ’, ‘ ㅓ’인 경우
영화를, 식사를
가서, 만나서, 좋아서

위하다: 동사
-어서: ‘ㅏ’, ‘ ㅓ’가 아닌 경우
「…을」
먹어서, 개어서, 쉬어서, 아니어서
1 . 이롭게 하거나 돕다.

5. V-기로 하다.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다 까닭이나 조건, 양보의 뜻 ‘-기’ +‘ -로’
다 너를 위해 하는 말이다.
2 . 물건이나 사람을 소중하게 여기다. - 기로 :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그는 강아지를 자식처럼 위했다. -’,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그녀는 부모를 제 몸처럼 위하는 효부였다.

1 .
3 . 「-기」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하다.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그는 출세를 위해서는 뭐든지 했다. 행동이 타의 모범이 되기로 이에 표창을 함.


돈을 벌기 위해서는 무슨 일도 할 사람이다. 2 .
그는 실험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였다.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기 : 동사, 형용사, ‘이다’, ‘아니다’어간, 어


아무리 바쁘기로 네 생일을 잊겠니.
미 ‘-았-’뒤에 붙어 그 말이 문장 내에서 주
아무리 그가 좋기로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어, 목적어 등의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
있니?
미.

- 20 -
-로 : 받침 없는 체언, ‘ㄹ’받침 체언 뒤
움직임의 방향, 경로, 변화의 결과,재료, 아무리 이를 닦아도 입 냄새가 난다.
도구, 방법, 원인, 이유.. 네가 옳아도 참아야 한다.
키는 작아도 힘은 세다

Unit. 16. Conditions and Suppositions


-어도 : 어미
조건과 가정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용언의 어
간 뒤에 붙어)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
1. A/V-(으)면 조건이나 가정의 뜻 는 연결 어미.
-으면 : 연결 어미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이 은혜는 죽어도 잊지 않겠네.
어미 ‘-었-’, ‘-겠-’ 뒤에 붙어) 무슨 일이 있어도 내일까지는 일을 끝마쳐야
불확실한 사실을 가정할 때 한다.
재물은 적어도 마음은 넉넉하다
내일 날씨가 좋으면 소풍을 가겠다.
분명한 사실을 조건으로 말할 때
상한 음식을 먹으면 배탈이 난다.
(주로 ‘-었-’ 뒤에 붙어) 현실과 다른 사실 Unit 17. Conjecture 추측, 짐작
을 가정할 때
이제 집에 갔으면 좋겠다. 1. A/V-겠어요.
반복되는 상황 -겠-: 어미
책만 읽으면 존다.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
시-’, ‘-었-’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
-면 : 받침 없는 동사, 형용사, 'ㄹ‘받침, V, 어)
A. 이다, 아니다. 예쁘면, 만들면, 아니면
1 .
2. V-(으)려면 미래의 일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어미.
동사, 형용사, ‘이다’에 붙어 어떤 상황을 가
정함을 나타내는 어미 지금 떠나면 새벽에 도착하겠구나.
-으려면: ‘ㄹ’제외한 받침 용언 뒤 잠시 후면 대통령 내외분이 식장으로 입장하
읽으려면, 맑으려면 시겠습니다.
고향에서는 벌써 추수를 끝냈겠다.
-려면: 받침 없는 용언, ‘ㄹ’받침 용언, ‘이 2 .
다’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어미.
찾아가려면, 학생이려면
나는 시인이 되겠다.
3.A/V-아/어도 이 정도의 고통은 내 힘으로 이겨 내겠다.
동생은 낚시하러 가겠다고 한다.
-아도 : 어미 3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ㅑ, ㅗ’인 어간 뒤에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어미.
붙어) 가정이나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21 -
그런 것은 삼척동자도 알겠다. 다’ 구성으로 쓰여) 해할 자리에 쓰여, 현재
이걸 어떻게 혼자 다 하겠니? 정해지지 아니한 일에 대하여 자기나 상대편
4 . 의 의사를 묻는 종결 어미.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어미.
네 방은 언제 닦을까? (요)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이 과자는 내가 먹을까?

내가 말해도 되겠니?
-ㄹ까 + 요?
이제 그만 돌아가 주시겠어요?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어요: (끝음절 모음이 ‘ㅏ, ㅗ’가 아닌 용언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
의 어간 뒤에 붙어) 해요할 자리에 쓰여, 설
에 붙어)
명ㆍ의문ㆍ명령ㆍ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어미 ‘-어’와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
해할 자리에 쓰여, 현재 정해지지 않은 일에
이다.
대한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지금 밥 먹어요. -
벌써 밥 먹어요? 이 나무에 꽃이 피면 얼마나 예쁠까?
이 그물에 고기가 잡힐까?
어미 :
2. A/V-(으)ㄹ 거예요. (주로 ‘-ㄹ까 하다’, ‘-ㄹ까 싶다’, ‘-ㄹ까 보
다’ 구성으로 쓰여) 해할 자리에 쓰여, 현재
-을 :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추 정해지지 않은 일에 대하여 자기나 상대편의
측, 예정, 의지, 가능성 따위 확정된 현실이 의사를 묻는 종결 어미.
아님을 나타내는 어미
-거: 의존 명사 '거' 뒤에, '-이에요'의 준말 남은 것은 내가 다 먹을까 보다.
인 '-예요'가 붙으면, '거예요'의 형태. 저는 그림을 그릴까 합니다

4. A/V-(으)ㄴ/는/(으)ㄹ 것 같다.
3. A/V-(으)ㄹ까요? (-은 + 것 + 같다)
1 . (형용사) -은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용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어미 ‘-었-’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하게 하고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현재 정해지지 아니한 일에 대한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검은 손
맑은 물
그 사람은 돌아왔을까? (요:해요체를 만드는
나는 지금껏 그 사람이 나보다 나이가 많은
보조사‘요’)
저 사람은 무엇을 타고 왔을까? 줄로 알아 왔다.
2 .
(주로 ‘-을까 하다’, ‘-을까 싶다’, ‘-을까 보 것 : (‘-는/은 것이다’ 구성으로 쓰여) 말하

- 22 -
는 이의 확신, 결정, 결심 따위를 나타내는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말. 동작이 과거에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어미.

담배는 건강에 해로운 것이다.


분명, 좋은 책은 좋은 독자가 만드는 것이 3. -을 것 같다.
다. -을 :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추
사람은 누구나 죽기 마련인 것이다. 측, 예정, 의지, 가능성 따위 확정된 현실이
아님을 나타내는 어미
같다: 「(…과)」(‘…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
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비슷한 말] 여하다. Unit18. Changes in Parts of Speech
나는 그와 키가 같다. 품사 변화
내 나이는 그의 나이와 같다.
나는 그와 같은 동네에 산다. 1. 관형형 -(으)ㄴ/-는/-(으)ㄹ N

(동사) -는 것 같다 관형사 :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


(동사)-는 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 조사도 붙지 않
어미 고 어미 활용도 하지 않는데, ‘순 살코기’의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순’과 같은 성상 관형사, ‘저 어린이’의 ‘저’
또는 어미 ‘-으시-’, ‘-겠-’ 뒤에 붙어) 앞말 와 같은 지시 관형사, ‘한 사람’의 ‘한’과 같
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이야기하는 시 은 수 관형사 따위가 있다.
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 (지시 +수 +성상 )의 차례로 여러 개가 쓰
을 나타내는 어미 일 수 있다.

것 : (‘-는/은 것이다’ 구성으로 쓰여) 말하 먹는 물 (‘먹다’의 관형형 ‘먹는’ +명사 ‘물’)


는 이의 확신, 결정, 결심 따위를 나타내는
말.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
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말이
같다 :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ㄴ/는 것’, ‘-ㄹ/을 것’ 뒤에 쓰여) 추측, 과거 또는 말하는 이가 상정한 기준 시점보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말. 연락이 없는 다 과거에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걸 보니 무슨 사고가 난 것 같다.
비가 올 것 같다. 어제 떠난 사람
금방 주먹다짐이 오갈 것 같게 살기 어린 분 털실로 짠 옷
위기를 대번에 휘어잡아 버린 솜씨는 누가 손을 다친 사람
감히 흉내도 낼 수 없을 것 같았다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동사) -은 것 같다.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
-은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 23 -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날이 추운데 따뜻하게 입어.
군인인 아버지 든든하게 먹어야지.
푸른 하늘 부디 행복하게 살아라
훌륭하신 선생님 밑에서 배웠다
4. A-아/어하다
2. A/V -기 ‘하다’를 제외한 용언 어간. 두 행위나 상태,
사실을 연결함을 나타내는 어미
(일부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명사 -아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용언의 어
를 만드는 접미사. 간 뒤
-어 :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이 아닌 용언
굵기 의 어간 뒤
달리기 하다 : [보조동사] 형용사 뒤에서 ‘-어하다’
돌려짓기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내는 말.
*****
'-게 마련이다'에서 사용된 '-게'는 용언을 손녀를 예뻐하다

부사화하는 부사형 어미이고, '-기 마련이다' 지저분한 것을 싫어하다


에 사용된 '-기'는 용언을 명사화하는 명사 친구를 좋아하다
형 어미입니다. 예를 들어 살펴보면, '-게'는
동사에서는 어떤 목표나 행동의 미침을 나타
내고, 형용사에서는 어떤 움직임의 모양(상 Unit 19. Expressions of State
태, 성질)이나 기준을 나타냅니다. 이는 '-게 상태의 표현
' 다음에 이어지는 동사나 형용사가 의미상
이를 뒷받침해 준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 1.V-고 있다
다. '오게 하다', '가게 되다', '잘 자라게 거 -고: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앞뒤 사실간의
름을 주다'는 전자의 예이고, '아름답게 핀 계기적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꽃', '맛있게 장만하다', '눈부시게 희다'는 후
자의 예입니다. '-기'는 '이다'나 동사, 형용 있다 : 동사 뒤에서 ‘-어 있다’구성으로 쓰

사의 어간에 붙어서 명사형을 만드는 전성어 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변화가 끝난 상


미로 '가기도 잘도 간다', '일하기가 쉽다', ' 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말.
희기가 눈 같다' 등으로 쓰입니다.
듣고 있다, 먹고 있다, 자고 있다.
3. A-게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고 있다’, ‘-고 싶다’, ‘-고 지고’, ‘-고 나
앞의 내용이 뒤에서 가리키는 사태의 목적이 다’, ‘-고 보다’, ‘-고 보니’, ‘-고 보면’, ‘-

나 결과, 방식, 정도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고 말다’, ‘-고 들다’ 등 보조 용언이 있는


연결 어미. 뒤에 ‘는’, ‘도’, ‘까지’ 따위의 보 구성에서) 본용언에 붙는 연결 어미.
조사가 올 수 있다.
- 24 -
나는 금강산을 보고 있다 나타내고, ‘-게 되다’ 구성으로 쓰이는 ‘되
나는 금강산을 보고 싶다 다’는 ‘어떤 상황이나 사태에 이르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여)지다’가 붙은 ‘친해
2. V-아/어 있다 지다’나 ‘(-게) 되다’가 붙은 ‘친하게 되다’는
동사 뒤에서 ‘-어 있다’ 구성으로 쓰여 앞 모두 ‘친한 상태로 되다, 친한 상태에 이르
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변화가 끝난 상태가 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쓸 수 있습
지속됨을 나타낸는 말. 니다. 다만 ‘-게 되다’를 붙인 표현보다는 ‘-
어(아/여)지다’를 붙인 표현이 좀 더 자연스
깨어 있다 럽고, 많이 쓰인다고 봅니다
앉아 있다.
꽃이 피어 있다. 마음이 슬퍼지다/마음이 슬프게 되다
누워 있다. 얼굴이 고와지다/얼굴이 곱게 되다
방이 깨끗해지다/방이 깨끗하게 되다
3. A-아/어지다 얼굴이 붉어지다/얼굴이 붉게 되다

어떠한 행위를 하게 되거나 어떠한 상태로 Unit20. Confirming Information


됨을 나타내는 표현. 어미'-아‘+동사’지다‘ 정보수집 확인

좋아지다. 1. A/V-(으)ㄴ/는지
예뻐지다 동사나 ‘있다’, ‘없다’, ‘-았-’, ‘-겠-’ 에 붙
착해지다 (착하여지다) 어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

4. V-게 되다 -ㄴ지 : 받침없는 형용사 어간, ‘ㄹ’받침 형


용사 어간, ‘이다’, ‘아니다
-게 : 동사와 형용사에 붙어 뒤에 나오는 사
태의 목적이나 결과, 정도, 방식 등을 나타 바쁜지, 먼지, 학생인지, 아닌지
내는 어미 (-도록, -게끔)
-되다: 어떤 때나 시기, 상태에 이르다 -는지 : 동사의 어간, ‘있다’, ‘어Qt다’, ‘-았
시집갈 나이가 되다 -’, ‘-겠-’뒤에 사용.
아이가 다섯 살이 되었다.
-게 되다: 외부적인 영향에 의해 어떤 상황 공부하는지, 먹는지, 있는지, 없는지, 자는지
에 이르게 되거나 바뀌었음을 나타내는 표 먹었는지, 하겠는지
현. 어미 ‘-게’+ 동사‘되다’
-은지: ‘ ㄹ’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문을 닫게 되다 좋은지, 싫은지, 작은지, 넓은지, 깊은지
외국에 가게 되었다

*** 형용사 뒤에서 ‘-어지다’ 구성으로 붙어 ***


쓰이는 ‘지다’는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어미 ‘-ㄴ’과 의존 명사 ‘줄’이 함께 쓰인 ‘-
- 25 -
ㄴ 줄’은 어떤 방법이나 사실에 대해 알고 걸리다: 시간이 들다
있거나 모르고 있음을 나타내고, 어미 ‘-ㄴ 이 일을 하는 데 세 시간이 걸린다.
지’는 막연한 의문을 나타냅니다. 그리하여
제시하신 문장을 비롯하여 “나는 영수가 이 들다 : 어떤 일에 돈, 시간, 노력, 물자 따위
렇게 똑똑한 줄 몰랐어./나는 정희가 똑똑한 가 쓰이다.
줄 알았어.”와 같은 문장에는 ‘-ㄴ 줄’이 쓰 언 고기가 익는 데에는 시간이 좀 드는 법이
이고, “저 사람이 한국 사람인지 아닌지 모 다.
르겠다./이 물을 마셔도 괜찮은지 검사를 해 집 수리하는 데에 비용이 얼마 들 것 같니?
보아야겠다.”와 같은 문장에는 ‘-ㄴ지’가 쓰
입니다. 3. A/V-지요?

****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 명


의존 명사 '지' 앞에 어미 '-(으)ㄴ'이 붙은 령. 요청을 나타내며 문장을 끝맺는 어미.
활용형이 오므로, 어미 '-(으)ㄴ지'와 헷갈리 (‘이다’의 어간, 용언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의존 명사 '지'는 어 -’, ‘-었-’, ‘-겠-’ 뒤에 붙어) 종결 어미 ‘-
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지’에 보조사 ‘요’가 결합한 말.
나타내는 말로, '그를 만난 지도 꽤 오래되
었다./집을 떠나 온 지 어언 3년이 지났다./ 어제는 무척 추웠지요?
강아지가 집을 나간 지 사흘 만에 돌아왔 내일 학교에 오실 거지요?
다.'와 같이, '시간의 길이'와 관련된 문맥에 그게 무엇이었지요? 모두 건강하시겠지요?
서 쓰인다는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한
편 어미 '-(으)ㄴ지'는 막연한 의문이 있는 Unit21. Discovery and Surprise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 발견과 뜻밖의 일, 감탄
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로, '기분이 좋은
지 휘파람을 분다./나 외엔 더 깨우고 싶지 1. A/V-군요/는군요
않은지 강도의 목소리는 무척 낮고 조심스러 형용사, ‘이다’, ‘-았-’, ‘-겠-’뒤
웠다 이미 존재하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고 인식
하거나, 새로이 알게 된 사건에 대한 감탄을
2. V-는 데 걸리다/들다 나타내는 표현. 어미‘-군’+높임‘요’
-는 : 동사의 어간에 붙어 명사를 수식하게
하고 그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 -군요: 형용사, ‘이다’, ‘-았-’, ‘-겠-’뒤
타내는 어미 거기에 있었군요.
-는: 동사 어간, 있다, 없다, 많이 힘들었겠군요.
-은 : ‘ㄹ’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일하기 싫군요
-ㄴ : 받침 없는 형용사, ‘ㄹ’받침 형용사.
-는군요: 동사어간 뒤
데 : ‘일, 것, 경우’의 뜻 가는군요. 먹는군요. 만드는군요.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

- 26 -
2. A/V-네요. -ㄴ데요: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받침
말하는 사람이 새삼스럽게 알게 된 사실에 형용사 어간.
대해 감탄함을 나타내는 표현 ‘-네’+‘요’ 바쁜데요. 먼데요. 아닌데요.

겁이 나서 더 못 가겠네요. Unit 23. Quotations 인용구. 제시어


오늘 차가 정말 많이 막히네요. 자신이나 남의 말, 글 또는 생각이나 판단
한국어 실력이 대단하시네요. 따위를 옮겨 와서 표현한 것.

어미 ‘-겠-’ 뒤에 쓰여 추측, 짐작한 내용에 1. Direct Quotations 직접 인용


대해 듣는 사람에게 동의를 구하며 물어볼 남의 말, 글, 생각을 표현한 문장 그대로 따
때 오는 것.

그럼 여기서도 가깝겠네요? -라고 : 조사


다음 주말에는 시간이 좀 나겠네요? (받침 없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직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원래 말해진
Unit22. Additional Endings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낸다.
추가 종료
주인이 “많이 드세요.”라고 권한다.
1. A-군요. V-는군요 그중 하나가 나서서 “내가 바로 홍길동이
다.”라고 소리쳤다.
-군: 형용사, ‘이다’, ‘-았-’, ‘-겠-’뒤 조카가 나에게 “삼촌은 비 내리는 소리가 좋
거기에 있었군. 으세요?”라고 물었다.
많이 힘들었겠군.
일하기 싫군. -이라고: 조사
(받침 있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직접 인용
-는군: 동사어간 뒤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원래 말해진
가는군. 먹는군. 만드는군.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낸다.

팻말에는 “금지구역”이라고 쓰여 있었다.


2. A/V-(으)ㄴ/는데요. 가게에는 “휴가 중”이라고 메모가 붙어 있었
다.
-는데요: 동사, 있다, 없다, ‘-았-’, ‘-겠-’ 김 교수는 고개를 저으며 “이 논문은 아마
어떤 사실에 대해 감탄하며 문장을 끝맺는 통과되기 어려울걸.”이라고 말했다.
표현.
가는데요. 있는데요. 먹었는데요. 하겠는데요
2.Indirect Quotations 간접 인용
-은데요: ‘ㄹ’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남의 말, 글, 말하는 사람의 생각, 판단 등을
좋은데요. 많은데요 옮기되, 말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옮기는 것.
(주어가 목적어로 변함)
- 27 -
직 :그는 “너는 나쁜 놈이야.”라고 말했다. 손대지 말라고 말했다
간 : 그는 나를 나쁜 놈이라고 말했다.
“포장해 주세요”라고 말햇다.
상대높임법이 실현되지 않는다. 포장해 달라고 말했다.

직 : 민수는 선생님께 “제가 하겠습니다.”라 청유문 : -ㄴ자


고 말씀드렸다. 나에게 “같이 식사합시다.”라고 말했다
간 : 민수는 선생님께 자기가 하겠다고 말씀 나에게 같이 식사하자고 말했다.
드렸다.
감탄문: 평서문과 동일하게 사용.
시제는 말할 때의 시제를 그대로 사용한다. 민수가 “와, 지금 밖에 눈이 오는구나!”
(직접인용절 그대로 사용) 라고 말했다.
직: 수미는 바쁠 거야‘라고 말했다. 민수가 지금 밖에 눈이 온다고 말했다.
간: 수미는 바쁠 거라고 말했다.
주어와 목적어의 생략 가능한 경우
특정한 어미로만 나타난다.
* 인용하는 사람과 인용절의 주어가 같은 인
평서문 : 동사 ‘-ㄴ다/-는다’ 물
형용사 ‘-다’ :
민수는 “나는 영미를 좋아해”라고 말했다 나는 친구에게“나는 철수를 좋아해”라고 말
좋아한다고 말했다. 했다.
- 나는 친구에게 (내가) 철수를 좋아한다고
“목이 아파요”라고 말했다. 말했다.
목이 아프다고 말했다.
나는 철수에게 “나는 너를 좋아해”라고 말했
의문문 :동사 -느냐/ 명사, 형용사 - (으)냐 다.
- 나는 철수에게 (내가 그를) 좋아한다고
“한국어 공부를 열심히 합니까?”라고 물었 말했다.
다.
한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느냐고 물었다. * 듣는 사람과 인용절의 주어가 같은 인물일
경우
명령문 : ‘-(으)라’
의문문, 명령문 일 때 인용절의 주어 생략
“학교에 가!”라고 말했다. 나는 민수에게 “너 영희 좋아하니?”라고 물
학교에 가라고 말했다. 었다. - 나는 민수에게 영희 좋아하는냐고
물었다.
부정문: -지 말라. 주다 : 달라고
평서문, 감탄문 일 경우 주어를 생갹하기
“손대지 마!”라고 말했다. 어렵다.
- 28 -
나는 민수에게 “너 합격했어”라고 말했다. 그 사람 말이 뭐 자기는 나를 잘 안다나요.
-나는 민수에게 그가 합격했다고 말했다.
-다나 : 어미
* 인용하는 사람과 인용절의 목적어가 같은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
인물일 경우 겠-’ 뒤에 붙어) (구어체로) 간접 인용절에
목적어를 생략하기 어렵다. 쓰여, 인용되는 내용이 못마땅하거나 귀찮거
나는 민수에게 “너는 나를 미워해.”라고 말 나 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인용문의
했다. 주어나 인용 동사는 생략되고 인용절만 남을
- 나는 민수에게 그가 나를 미워한다고 말 때가 많다.
했다.
그 사람이 뭐 나더러 머리가 멍청하다나.
* 인칭대명사에 대한 표현의 변화 자기 조상 중에 정승이 열이나 있다나 어떻
다나.
나는 - 내가 그 집 아들이 대학에 합격했다나.
너는 - 그가
너를 -그를 등으로 주어와 목적어가 인용하 -으라나 : 어미
는 사람과 동일한 경우인지 아닌지에 의해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
인칭이 바뀐다. 어) (구어체로) 간접 인용절에 쓰여, 인용되
는 내용이 못마땅하거나 귀찮거나 함을 나타
고 : 조사 내는 종결 어미. 흔히 인용문의 주어나 인용
(종결 어미 ‘-다, -냐, -라, -자, -마’ 따위 동사는 생략되고 인용절만 남을 때가 많다.
뒤에 붙어)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나보고 음식 남은 것을 먹으라나.

아직도 네가 잘했다고 생각하느냐? 3. Indirect Quotation Contracted Forms


아까는 술을 전혀 못 마신다고 하더니? 간접인용 축약형
아내는 나더러 낙엽 밟는 소리가 좋으냐고
물었다 '-다고 해'가 줄어든 말인 '-대'는 직접 경험
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
-ㄴ다나 : 어미 으로 전달할 때 쓰이고, '-데'는 화자가 직접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구어체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
로) 간접 인용절에 쓰여, 인용되는 내용이 는 데 쓰입니다. 문의하신 경우는 '철수가
못마땅하거나 귀찮거나 함을 나타내는 종결 밥을 먹었다고 해요.'가 줄어든 경우이므로,
어미. 주로 인용문의 주어나 인용 동사는 생 '철수가 밥을 먹었대요.'와 같이 표현합니다
략되고 인용절만 남는다.
사람이 아주 똑똑하대.
그 사람 말이 아들이 일류 회사에 다닌다나 철수도 오겠대?
어쩐다나 그러더라고.
- 29 -
-다고 : 흔히 속담과 같은 관용구를 인용하 화 아팠습니다. 아파서, 아파도
면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
미. 2. ‘ㄹ’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어간이 바뀌는 규칙활용)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고 우리 부 ‘ㄹ’탈락 규칙 동사 : 알다, 살다, 울다, 놀
모님 마음 편할 날이 없으셨지. 다, 불다, 갈다 + ㄴ, 네, ㄹ, ㅂ니다, 시,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오 = ‘ㄹ’탈락 (알다 - 안, 압니다, 아세요.)
‘-겠-’ 뒤에 붙어) 간접 인용절에 쓰여, 어미
‘-다7’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23’가 + 으려고, 으면 = ‘ㄹ’ 뒤에 ‘으’가 빠진꼴의
결합한 말. 어미 (알다 - 알려고, 알면)

동생이 자기도 같이 가겠다고 말한다. ‘ㄹ’탈락 규칙 형용사 : 멀다, 달다, 길다, 둥


글다, 어질다 + ㄴ, 네, ㄹ, ㅂ니다, 시, 오
-는다고 : 동사에 붙어 다른 사람에게서 들 = ‘ㄹ’탈락 (길다 -기세요. 긴, 깁니다)
은 내용을 옮겨 말하거나 문장 주어의 생각,
의견 등을 나타내는 표현. + 으려고, 으면, 지, 고 = ‘ㄹ’ 뒤에 ‘으’가
어미‘-는다’+인용‘고’ 빠진꼴의 어미 (길다 -길면, 길지, 길고)
‘ㄹ’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뒤
먹는다고, 잡는다고 3. ‘ㅂ’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 어간만 바뀌는 불규칙 활용 )
-ㄴ다고 : 받침 없는 동사, ‘ㄹ’받침 동사 불규칙활용 동사 굽다, 눕다, 돕다, 줍다 +
간다고, 만든다고 -지만, -고, 지 = 변화 없음

불규칙활용 동사 굽다, 눕다, 돕다, 줍다 +


Unit24. Irregular Conjugations -았, -아서, -으면, -을 = ‘오’, ‘우’로 변
불규칙 활용 함.
규칙 동사 : 뽑다, 씹다, 입다, 잡다, 접다..
1. ‘ㅡ’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어간이 바뀌는 규칙활용) 음운 규칙 불규칙 활용 형용사 곱다, 덥, 쉽다, 어렵다,
‘으’탈락 규칙 동사 : 쓰다, 따르다, 뜨다, 그 춥다, 즈겁다, 가깝다, 아름답다, 자비롭다,
다, 담그다,..+ 지만, 고, 지, 면 = 변화 없 바보스럽다 + 습니다, -지만, -고, -지 =
음. 변화 없음.
+아/어, 았/었, 아서/어서, 아도/어도 = 쓰- 불규칙 형용사 곱다, 덥, 쉽다, 어렵다, 춥다,
에서 ㅆ-으로 변화 섰습니다, 써서, 써도. 즈겁다, 가깝다, 아름답다, 자비롭다, 바보스
럽다 + -었, -어도, -어서, -으면 = ‘우’로
‘으’탈락 규칙 형용사 고프다, 기쁘다, 바쁘 변화함.
다, 슬프다, 아프다, 쓰다, + 지만, 고, 지,
면 = 변화 없음 규칙 형용사 : 좁다
+ 아/어, 았/었, /아서/어서, 아도/어도 = 변
- 30 -
4. ‘ㄷ’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아/어 부분이 모음과 함께 ‘애/에’, ‘얘/
( 어간만 바뀌는 불규칙 활용 ) 예’로 변화. 하얗다- 하야니까, 하얘서, 하얬
불규칙활용 동사 걷다, 깨닫다, 듣다, 묻다, 습니다.
싣다 + -습니다, -지, -고, -는 = 변화없음

불규칙활용 동사 걷다, 깨닫다, 듣다, 묻다, 7.‘ㅅ’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싣다 + -었, -어서, -으면, -으려고 = ‘ㄹ’
로 변화. ( 어간만 바뀌는 불규칙 활용 )

규칙활용 동사 : 닫다, 묻다(땅에), 믿다, the 동사 중 어미 종류에 따라 ‘ㅅ’ 형태가 불규


다, 얻다. 칙하게 바뀐다.

동사 어간 +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5. ‘르’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습니다, -는, -고, -지)= 변화 없음
( 어간만 바뀌는 불규칙 활용 ) 불규칙 동사 : 긋다, 낫다, 붓다, 잇다, 젓
‘르’불규칙 활용 동사 : 가르다, 고르다, 기르 다, 짓다, + ‘-었-’, ‘-어도’, ‘-으려고’, ‘-으
다, 나르다, 누르다, 모르다, 오르다, 이르다, 면’ 등 = ‘ㅅ’이 없어진 ‘지-’로 변화
찌르다, 흐르다 + 과, 지만, 지, 니까, 면 = 규칙 동사: 벗다, 빼앗다, 씻다, 솟다....
변화 없음
형용사 어간 + 자음 시작 어미 (-습니다, -
+ 아/어, 았/었, 아도/어도 = 모르-에서 몰 고) = 변화없음
ㄹ-롤 변함. 불규칙 형용사 ‘낫다’ + ‘-았-’, ‘-으면’
= 변화 ‘ㅅ’이 없어진 ‘나-’로 변화
규칙동사 : 치르다(값을), 따르다.

‘르’불규칙 형용사 : 게으르다, 다르다, 이르 8. ‘여’불규칙 활용


다 + 고, 지만, 지, 니까 = 형태 변화 없음 (어간은 바뀌지 않고 어미만 바뀌는 불규칙
활용.)
+ 아/어, 았/었,/아서/어서 = 다르-에서 달
ㄹ- 로 형태 변화. ‘여’불규칙 활용 동사 + 하다, 공부하다, 생
각하다, 원하다 + 고, 는 = 변화 없음

6.‘ㅎ’불규칙(Irregular Conjugation) +아/어, 아도/어도, 아서/어서, 았/었, = 하


여도/해도, 하여서/해서, 하였/했 으로 변화.
‘ㅎ’불규칙활용 형용사 그렇다, 까맣다, 동그
랗다, 퍼렇다, 하얗다 ('좋다‘를 제외한 모 ‘여’불규칙활용 형용사 : 깨긋하다, 행복하다,
두)+ 습니다, 지만 = 변화 없음 피곤하다, 조용하다 + 고 = 변화

+ 으니까 (으) = ‘ㅎ’과 ‘으’가 함께 탈락 + 아도/어도, 아서/어서, 았/었 = 행복하여


- 31 -
도/행복해도 로 변화.

9. ‘러’불규칙활용
(어간은 바뀌지 않고 어미만 바뀌는 불규칙
활용.)
‘러’불규칙활용 동사 : 이르다 + 니까, 고 =
변화 없음.
+ 어도, 어서, 었 = 이르러도, 이르러서 로
변화.

‘러’불규칙활용 형용사 : 누르다, 푸르다, +


니까, 고 = 변화 없음

+ 어도, 어서, 었 = 변화

- 32 -

You might also like